bing이라는 사이트는 우리나라에서는 굉장히 생소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에

내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을 꼭 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SEO 최적화하기 위해 중요한 기능들을 많이 가지고 있기에

내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microsofot_search_console
마이크로소프트 빙 포털사이트

SEO 문제를 한 번에 확인 할 수 있는 리포트 제공

블로그 글을 쓰다보면 잘못된 카테고리, 앵커 이미지, 태그 등

하나하나 꼼꼼하게 확인하더라도 놓치기 마련인데요.

내 블로그를 분석하고 SEO 문제들을 한 번에 보여주는

리포트를 제공해주기때문에 글이 많아질수록 더 유용합니다

bing_webmasters
빙 웹마스터도구 SEO 문제 리포트

특히 굉장히 좋은 것은 단순하게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만을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 그리고 어떤 링크인지까지 보여준다는 것인데요

문제 해결 방법을 통해 검색엔진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도 있습니다.

microsoft_seo_report
빙 서치콘솔 심각도

예를 들면 html을 구성하는 웹표준상에 h1태그가 하나만 존재해야 하는데

페이지 소스 내 중복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심각도가 높음으로 표시되어

바로 수정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웹 표준에 맞지 않는 포스팅 글은

구글에서도 다른 포털사이트에서도 노출이 잘 안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렇게 한번 더 언급해주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죠.

bing_seo_recommended_work
빙 SEO 권장 작업

가장 좋은 것은 페이지 URL을 제공해주는 부분입니다.

블로그를 오래 운영하면 할수록 기존 글들을 관리하는 게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글이 몇 개 안된다면 하나하나 체크해서

수정할 수 있는데, 그것 또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자칫 잘못된 수정은 오히려 저품질을 유발할 수 있어서

필요한 부분만 수정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빙 웹마스터 도구에서는

잘못된 부분의 페이지 URL과 위치까지도 미리보기로 볼 수 있어서

오류들을 수정해나갈 수 있다는 점이 정말 좋습니다.

bing_seo_problem_url
빙 SEO 문제가 된 url

게다가 정말 가끔 빙 포털사이트 검색으로 유입도 됩니다.

크게 기대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가끔 유입이 되는 것을 보고

신기할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는 구글에 검색엔진과

비슷한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글을 최적화한다는 느낌으로

등록 후 관리하면 유리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 카카오, 다음, 구글의 대형 사이트들의

점유율이 훨씬 크기 때문에 빙 서치 콘솔을 이용해 유입을 늘릴 수 있도록

SEO 가이드만 이용해도 굉장히 유용한 사이트라고 생각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